728x90

이번에 아이폰 6s부터 애플에서 렌탈서비스를 도입하면서 또한번의 광풍이 분다.

처음 아이폰이 나타나면서 피처폰 -> 스마트폰으로 넘어오게 되었고
그 뒤부터는 혁신이라는 말이 유행이 되고 있다.

이번에 아이폰 6s와 6s+가 나오면서 렌탈서비스가 나오고
휴대전화 구입방식의 변화가 한번 더 일어나겠지


 

 기본가격

 애플캐어($129)

 24개월 렌탈(애플케어포함)

 6s 64G

 $749

 $749 + $129 = $878

 월 $36.58 * 24 = $877.92

 6s plus 64G

 $849

 $849 + $129 = $978

 월 $40.75 * 24 = $978


결론 : 2년을 이용했을 때, 단말기 가격은 크게 변화가 없다.


iPhone Upgrade Program이라는 렌탈이 말하는 것은

12개월 마다 새롭게 렌탈을 갱신하라는 뜻이다.

24개월로 계약한 뒤 12개월이 되어서 새 아이폰으로 갈아타고 싶으면 다시 24개월짜리로 계약을 갱신하는 것이다. 그 때 렌탈가격의 변동이 있을 수 있다.
갱신할 때 요금이 더 비싸질 수 있다.
24개월을 채웠을 때는 아마 내것이 되겠지?
12개월째 단말기를 바꾸려면 단말기가 온전해야하나? 애플케어안에 있으니 그냥 돌려줘도 될 것 같은데....지금까지는 중고단말기 상태가 좋아야 보전을 잘 받았는데 그런거 없이 바꿔주면 대박이다.


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휴대전화 구매 개념이 바뀐다.
기존 : 통신사 = 단말기 + 통신요금
향후 : 단말기제조사 = 단말기, 통신사 = 통신요금
으로 정상화(?)되는 것 같다.

애플의 관점은 자기네 단말기를 통신사에서 할부로 판매하는 방식을 자기들이 먹겠다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통신사 변경과 단말기 교체가 좀 더 자유로워질 수 있다.


사실 단말기를 할부로 구매하는게 보통인데 여기에는 5%정도의 이자가 포함되어있다(년간 약 5만원)
보조금은 15만원 정도라고 하면 보조금 - 이자 = 5만원정도인가?
근데 통신사를 옮기려면 남은 단말기대금을 모두 지급한 다음, 할인받은 통신요금도 뱉어낸 뒤에야 이동이 가능하다. 목돈이 들어가니 울며 겨자먹기로 2년을 채운 뒤에야 족쇄를 풀고 다른데로 이동

그런데 앞으로는 요금제만 보고 이통사를 고르면 되겠구만. 단말기 요금은 애플에 계속 주고
더 나은 요금제가 있는곳으로 갈아타면 자율경쟁(?)이 될 수도 있겠다라는 꿈을 꿔본다.


분명한 것은 단말기와 통신요금이 분리되어 단말기는 단말기대로 요금제는 요금제대로 묶지않고 설계가 가능해진다는 것인데 이통사에서 이것보다 좋은 혜택을 줘야 기존과 같이 유지가 될텐데... 머리 좀 써야겠구만


728x90
728x90

예전에 베트남이 이자만 20%된다는 얘기를 들었던게 생각나서 찾아보니

2013년에는 20%였는데 줄고 줄어서 지금은 6.5%정도
그래서 다른 나라들을 찾아보니 오왕~


아이티 20%,

이란 21%,

케냐 11%,

말라위 25%,

몽고 13%,

미얀마 10%,

우크라ㄴ이나 22%,

베네수엘라 20%
아프가니스탄 15%,

아르헨티나 22%

베라루스 25%
브라질 14%,

인도 6%,

인도네시아 7%

러시아 11%,

터키 7%


5천만원 넘어가면 국세청에 신고해야하니 5천만원 이하로 넣어두고 매년 이자만 송금받아도 좋을듯 하네 년 25%면 4천만원 넣으면 1년에 1천만원씩 ㅋㅋㅋ

근데 계좌개설은 어떻게하지?
브라질은 협정이 있어서 이자수익에 대해 세금을 안매긴다고 하고
다른나라는 모르겠구만
국채를 사면 되는건가?









728x90
728x90

나는 서민이라고 생각한다.
관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겠지만 그래도 ㅎ

대학을 졸업할 때 마지막학기 등록금을 등록금 대출을 못받아서 카드로 대출을 받았다.
그 때 이율이 19%... 게다가 선이자도 떼어갔다.
등록금 만큼만 대출받으려고 했는데 선이자를 떼니... 더 받을 수 밖에 없었다.


첫번째 회사는 다행이 졸업전 12월에 구해서 다니기 시작했는데 월 100만원.
당시 살던집은 반지하에 2000. 인천시 귤현이라는 동네였다. 회사는 용산으로 1시간 30분정도(걷고 갈아타는거 포함)
한 9개월 다니면서 학자금 대출은 다 갚은것 같다. 회사를 나왔다.

그리고 첫 집을 샀다. 부천시 송내에 지은지 2년 된 빌라

2000만원은 전세금에서 대출 2200만원받고 모아둔 돈 넣고...

원금 + 이자 해서 20만원이 나갔다.


이 곳에서 약 10년 정도 살았다.
빌라를 팔 때 가격은 7900, 남은 대출잔금은 1600

아파트를 샀다.
대출 1억4천 + 인테리어 + 이사 + 각종비용
마이너스대출. 3000 + 차판돈 2400


처음 원금+아자 = 135만원을 내니 헉하는 소리가 자연스레 나왔다.

대출이 잘못되어 일시상환해야한다고 했다.
집에 들어온 지 반년....
전세를 줬다. 17500. 대출금을 갚고 4000을 남기고
신축빌라로 들어갔다. 대출금 9600...

월 원금 + 이자 = 40


다음주... 아파트를 처분한다. 2억 5천...

전세금에서의 차액은 7500.

현재 마이너스대출 900

처분 후 남는 금액 약 6000...
직장생활 10년차...


집담보대출 - 9000, 현금 6000

성적은?


이제 또 더 큰집으로 이사도 해야하고 차도 사야하는데... 가능할까?

728x90
728x90

내가 어렸을 때에는 자가, 전세는 따로 돈 들어가는게 없고 월세는 매달 돈이 나가는 것으로 알았는데

지금 매일 집값으로 돈이 안나가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집을 사도 집담보로 대출받아 은행에 월 이자 => 월세
전세로 들어가도 전세금 대출받아 은행에 월 이자 => 월세
월세로 들어가면 => 월세
모두가 월세를 산다.


전세가 가능했던 이유는
전세금을 예금으로 놔 두었을 때 이자가 월세보다 많았기 때문인데
굳이 사람관리(?) 필요한 월세를 놓을 필요가 없었다.
월세를 30으로 봤을 때, 전세가 2000이면

2100: 28, 2200 : 26으로 100만원 당 월 2만원의 차이로 가격이 형성 되었었다.

근데 요세는 1억마다 2만원정도 차이가 날까?
재산세내면 전세를 예금했을 때 나는 수익은 0보다 작다.
집을 전세준다는 것은 거의 무이자(재산세/12)로 쉽게 돈을 빌리는거다.


2억짜리 집을 현찰 1억 + 대출 1억을 받아 산 다음

1억 5천에 전세를 준 경우와 비교해보면

(살 집이 아닌 비거주)


은행에서 1억을 3%에 빌리면 이자가 300만원인데
2억짜리 집을 전세로 1억5천을 주면 재산세 30만원(상반기15,하반기 15), 장기수선충당금 대략 60만원(관리비에 포함되고 약 5만원이라고 가정).
첫해 대출이자 300만원 vs 취득관련지출 300만원 + 재산세 30만원 + (장기수선충당금 50 누적) = -30만원
둘째해 대출이자 300만원 vs 재산세 30만원 + (장기수선충당금 누적) = 0

3년부터는 전세주는게 이득이구만?
(대출이자 1억 갚고도 5천만원이 남았으므로 이것으로 다른데 투자한 것은 제외)


5천으로 전세끼고 집사서 오르면 팔고 다시 사고를 반복하면...


반전세면 저거보다 훨씬 더 이익이네??

흠... 이래서 계속 집을 사는거구만?


세입자 관점에서 보면
자금 1억 + 전세자금대출 5천만원

1억에 300만원이었는데 요새 전세대출이자가 싸니까 년 200만원이라고 하고

첫해 : 이사비 100만원 + 각종비용 50만원 + 대출이자 200만원
둘째해 대출이자 200만원

실거주 목적으로 2억짜리를 산다면
자금 9000만원 + 인테리어 1000 + 주택담보대출 1억 1천. 이자는 300이라고 치고
첫 해 : 이자 300 + 이사 + 100 + 인테리어 1000 + 재산세 30
둘째해 : 이자 300 + 재산세 30

이사다니면서 쓰는 비용이 만만찮기 때문에
10년동안 5번 전세를 가나 집사서 10년있나 비슷할 듯.

2억짜리 집은... 인천에 있다. 직장이 서울이면 1시간 30분~2시간이 기본인게 함정

728x90
728x90

내가 배웠던 게 혼란이 온다.

을자조약을 단지 불평등 조약으로 배웠다.
어제 새로운 사실을 알았다. '을사늑약'이라고 한다고
조약이라고 할 수 없다는 것이다.
내가 배운 국사책에는 '늑약'이라는 단어가 없었다.
어제야 비로소 을사조약(X), 을사늑약(O)라고 내 머리속 개념을 정정할 수 있었다.


얼마전 돌잔치를 했다.
'돐'이르는 단어가 '돌'로 써도 된다고 한다. 그럼에도 난 되도록이면 '돐'이라고 썼는데
아내가 핀잔을 줬다.


초등학교(당시 국민학교) 때 맞춤법 중에서
'~읍니다'와 '~습니다'가 나뉘었다.

어른들이 '습니다'로 써야하는데도 '읍니다'라고 쓸 때 속으로 비웃었던 내가 부끄러워졌다.


그리고 갑자기 궁금해 졌다.
자유 민주주의라는 말도
민주주의면 민주주의지 여기에 왜 '지유'라는 말이 붙는지 모르겠다.

앞에 붙은 '자유'는 아무 의미 없이 해석됐다.


하지만 자유주의 + 민주주의로 엄청난 의미가 숨어있었다.
민주주의는 의사결정을 다수결에 의해 하는 것인데
이를 위한 전제조건으로 자유주의의 개념인 '신념의 자유, 의견의 자유, 토론의 자유, 표현의 자유, 출판의 자유, 결사의 자유, 집회의 자유, 청원의 자유'가 보장되는 것이었구만

[위키 참조]

오늘 이렇게 자유 민주주의라는 단어의 개념을 좀 더 확실히 알게됐다.
자유민주주의의 '자유'는 free가 아니라 liberal이라는 것을

(위키를 좀 더 찾아 봐야지 ㅋ)


근데... 우리나라 민주주의는 맞는데 자유주의는 좀 덜 들어가 있는것 같지 않나?
토론은? 집회는? 결사는?

728x90
728x90

몇년 전 차를 샀었다.
2년 무이자 할부.... 그게 회사를 다녀야 하는 이유가 됐었다.
쓸 수 있는 돈에 제약이 생겼었다.

집을 사게 됐다. 당시 좀 무리를 해서

그때도 전세가 없어서 '이 가격이면 사도 되겠네' 하고 좀 무리를 했다.
돈이 좀 모자랐다. 차를 팔았다.

이전 차 할부값의 3배가 집때문에 나갔다. 원금 + 이자.
전세를 줬다. 집값의 70%. 집 담보 대출은 전세값으로 전환되었고

아파트에 나가는 지출은 재산세만 남았다.(전세에 대한 장기충당금도 있었다)

'내년부터 대출조건이 까다로워 진다'라는 소식을 듣고 생각해보니
혹시나 아파트가격이 떨어져버리면 전세금만큼의 대출을 못받기 때문에 전세금이 대출금보다 크므로 살아보지도 못하고 빚쟁이가 된다.
언젠가 한 번은 떨어지는데 그 폭탄돌리기 게임에서 빠지고 싶었다.

결론은 빚내서 집샀다가 대출 및 이자가 겁이나고 현금을 보유하는게 제일인 것 같다였다

집은 잠을 자는 곳이다.
편하게 쉴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그 전에 빚이 없어야 마음이 편하다는 것.
매달 갚아야 할 돈이 있다는 것과 당장 일이 없을 수 있다는 것이 큰 스트레스였다.

그리고꼭 아파트가 아니어도 사는데 지장은 없다는 것.


이제 재정이 곧 마이너스에서 플러스로 돌아서면
이자만큼의 여유가 생긴다.
부동산 상황을 관망할 수 있다.


지금 사는 집은 좀 좁다. 넓은데로 가고 싶기도 하지만 아파트 갈 만한 자금은 없다.
최대한 여기서 살면서 돈을 불리는 수 밖에...


목표는 지금보다 더 넓은 집에 빚없이 가는 것이다.
난 아파트가 아니어도 되는데...


ps. 하지만 한편에는 이런 생각도 든다.
집값이 너무 비싸서 우리나라에 살 수 사람이 없다면?
아마 중국인들이 사겠지
그러면 집값이 떨어질 일은 없지 않을까?
오히려 매물의 품귀현상으로 더 오를 수도 있고
그들에 의해 월세가 주를 이루고 가격도 상승할 수도 있을 것 같다.
뭐 어쨌거나 한동안은 관망.


728x90
728x90

책을 간만에 두권정도 사려는데 이벤트를 하고 있네...

 

하나카드에서는 30%라고 했는데 지마켓에 실제로 가보니

20%였고 1권에만 쓸 수 있었음.

 

하나카드로 결재한다고 하면 1권당 20%쿠폰 다운받아서 사용할 수 있음

원래 결재시 5%즉시할인을 받을 수 있는데 이 혜택은 빠짐...

링크 : http://promotion.gmarket.co.kr/planview/plan.asp?sid=139219

 

좋은 건 20%할인 쿠폰이 무제한 발급이라는 거.

사용할 권 수 만큼 여러번 쿠폰을 발급받고 사용

다만 발급후 3일 이내에 사용해야 함.

 

장바구니에서 책마다 쿠폰 적용하면 됨.

 

 

 

 

 

 

 

 

728x90
728x90

외환은행과 하나은행이 통합하면서 하나카드에서도 이벤트를 한다.

하나카드가 있는 사람은 응모하는게 좋을 듯

 

1. 기간은 2015년 11월 30일까지

2. 홈페이지에서 이벤트 신청

3. 5만원이상 결재

 

주유권 5천원 준다고 하니 한번 써보는 것도

 

 

 

 

728x90
728x90

괌에 메일을 보낼 께 있어서 보냈는데
하와이와 서울을 비교하며
괌에서 볼 때 하와이가 업무시간이 동일하다고 적었는데...

어젯밤 세계지도를 보니... 웬걸
서울 - 괌 : +1시간
서울 - 하와이 : -19시간이다.


괌 기준으로 하와이와 20시간 차이가 난다 ㅋㅋ
괌 - 하와이가 가까운 줄 알았는데 6000km 비행기로 7시간 반
서울 - 괌이 3215km인데 거의 두배인데 모르면서 아는척했구만



728x90
728x90

현대카드에 쇼핑케어 서비스라고 유료 서비스가 있다.

월 이용료는 기본이 5500원 프리미엄이 6000원인데

해외 쇼핑같은거 안하면 기본이면 되고

 

홈플러스 : 3만원 이상  결제시 사용

 

우리집의 경우 온라인 홈플러스를 가끔 이용하는데

3만원 이상 무료배송이라서 한번 주문 시 3만원을 넘긴다

5천원 쿠폰 2장 = 1만원 , 서비스 이용료 5500원을 빼도 4500원 이득이다.

 

단 개인정보가 팔리는 건 함정

다른 쿠폰이랑 중복적용이 안된다고 하는데

쿠폰으로 사는게 별로 없다고 하니

있다면 별개로 결재하는 센스를 발휘할 것.

 

 

 

728x90
BLOG main image
"그게 뭐 어쨌다는 거냐?" 늘 누가 나에게 나에대한 말을할 때면 이말을 기억해라. by nobang

카테고리

nobang이야기 (1951)
Life With Gopro (7)
Life With Mini (79)
Diary (971)
너 그거 아니(do you know) (179)
난 그래 (159)
Study (290)
속지말자 (10)
Project (34)
Poem (15)
Song (0)
Photo (113)
낙서장 (45)
일정 (0)
C.A.P.i (2)
PodCast (0)
nobang (27)
고한친구들 (4)
recieve (0)
History (0)
android_app (2)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

Total :
Today : Yesterday :